부동산 자동갱신이란
부동산 전세 계약에서 2년 만기후 연장을 하게 되는 종류 중 하나입니다.
보통은 오피스텔, 아파트 등 전세계약에서 2년 계약 후 만기날짜가 다가올때, 임차인이 나가려고 하는 경우는 적어도 2개월 전에는 알려줘야 합니다.
만약 만기가 지났는데도 임대인, 임차인 양 당사자가 모두 계약 갱신과 관련하여 얘기 없이 지나간다면 이는 자동연장이 됩니다.
전세 2년 계약 후 묵시적 갱신
만약 만기가 지났는데도 임대인, 임차인 양 당사자가 모두 계약 갱신과 관련하여 언급 없이 지나간다면 이는 자동연장이 되고, 자동연장은 법률용어로 ‘묵시적 갱신’ 이라고 합니다.
즉 전세 계약에서 계약 만료일이 되었음에도 계약 당사자 중 한 쪽이 계약을 해지하지 않는다면 자동으로 계약이 연장 되거나 갱신되는 것입니다.
이 경우, 계약 조건이 변경되지 않는다면 계약 종료일까지 조건은 계속 유효합니다.
자동갱신 vs 재계약 차이점
자동갱신 즉 묵시적 갱신은 임대인, 임차인 모두 언급 없이 계약이 자동으로 연장된 경우로, 이때는 임차인이 언제든지 계약 해지통지가 가능하며 3개월 뒤 효력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임대인의 경우 임대인의 동의 없이 계약 해지가 불가하도록 재계약을 할 수 있는데 임대인의 입장에서는 재계약서를 작성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재계약을 하면 임차인이 일방적으로 계약해지를 하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정리해보면, 보통 전세 2년 계약 후 임대인, 임차인 모두 아무 언급없이 만료일이 지나면 자동으로 계약이 갱신되며 이를 법률적 용어로 묵시적 갱신이라 합니다.
자동연장이 된 경우 계약 조건은 똑같이 적용되며 묵시적갱신의 경우 임차인이 언제든지 계약 해지통지가 가능하고 3개월 뒤 효력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임대인의 경우는 2년 뒤 연장을 하는 경우 재계약을 하여 임차인이 일방적으로 계약해지를 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재계약서의 경우 계약을 했던 부동산 또는 다른 부동산을 통해서도 계약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세금 반환 대출 (전세반환대출) 정부 1년 간 대출 규제 완화 (0) | 2023.07.24 |
---|---|
탄소중립실천포인트, 탄소포인트 제도, 현금입금 (0) | 2023.07.02 |
미국주식 배당주 SCHD 투자 / 배당락일 / 배당금 (0) | 2023.06.27 |
JEPI ETF 배당주 투자 배당금, 배당락일, 배당일, 전망 등 (0) | 2023.06.26 |
창업대출 상담부터 은행 대출까지 받는 방법에 대해 (0) | 2023.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