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산불 원인 1위는 이것?! 우리가 몰랐던 사실"

배당주모아모아 2025. 4. 1. 09:00
반응형

산불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기후변화는 그중 중요한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다음은 산불의 주요 원인과 기후변화의 영향에 대한 자세한 설명입니다.

 

출처 pixabay

 

1. 인위적 요인

  • 실화:
    • 입산자의 담뱃불, 취사 행위, 쓰레기 소각 등 부주의로 인한 산불이 가장 흔합니다.
    • 논밭두렁 소각, 성묘객의 화기 사용 등도 주요 원인입니다.
  • 방화:
    • 고의적인 방화는 드물지만, 발생 시 큰 피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기타:
    • 전기 시설의 누전, 폭발물 사용, 기계 작업 중 발생한 불씨 등도 산불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2. 자연적 요인

  • 낙뢰:
    • 건조한 날씨에 낙뢰는 마른 초목에 불을 붙여 산불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자연 발화:
    • 극히 드물지만, 건조한 날씨에 마른 풀이나 나뭇잎이 자연적으로 발화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3. 기후변화의 영향

  • 기온 상승:
    • 기온 상승은 증발량을 증가시켜 토양과 식물을 건조하게 만들고, 이는 산불 발생 위험을 높입니다.
    • 특히 고온 건조한 날씨가 지속되면 산불이 빠르게 확산할 수 있습니다.
  • 강수량 감소 및 가뭄:
    • 강수량 감소와 가뭄은 식물을 더욱 건조하게 만들어 산불에 취약하게 합니다.
    • 장기간의 가뭄은 대형 산불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이상 기상 현상:
    • 강한 바람, 건조한 번개 등 이상 기상 현상은 산불 발생 및 확산에 영향을 미칩니다.
    • 특히 건조한 날씨에 강풍은 산불을 빠르게 확산시켜 진화를 어렵게 합니다.
  • 산림 생태계 변화:
    • 기후변화로 인한 산림 생태계 변화는 특정 수종의 고사 및 확산을 유발하고, 이는 산불 발생 위험을 높입니다.
    • 소나무가 주를 이루는 대한민국의 산림의 경우 송진이라는 정유성분으로 인해 산불에 매우 취약합니다.

4. 산불의 심각성

  • 산불은 생태계 파괴, 재산 피해, 인명 피해 등 심각한 결과를 초래합니다.
  • 특히 대형 산불은 광범위한 지역을 황폐화하고, 복구에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 기후변화로 인해 산불 발생 빈도와 강도가 증가하면서 그 위험성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5. 산불 예방 및 대응

  • 산불 예방을 위해 인위적인 발화 요인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 산불 발생 시 신속한 초기 대응과 효과적인 진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합니다.
  •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장기적인 산림 관리 및 정책 수립이 요구됩니다.

 

우리나라 산불 원인 1위??

대한민국 산림청의 최근 10년간(2013년~2023년) 산불 원인 통계에 따르면, 산불 원인 1위는 ‘입산자 실화’로 전체 산불의 32.9%를 차지합니다.

입산자 실화는 등산객이나 산을 방문한 사람들이 담뱃불, 취사 행위, 쓰레기 소각 등 부주의로 인해 발생하는 산불을 의미합니다. 특히 건조한 날씨에 작은 불씨라도 마른 낙엽이나 나뭇가지에 옮겨붙으면 순식간에 큰불로 번질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 외에도 쓰레기 소각(12.6%), 논·밭두렁 소각(11.9%) 등 인위적인 요인이 산불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며, 전체 산불의 절반 이상이 사람의 부주의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 2025년 산불로 인한 피해는 막심하며, 앞으로 산불교육 훈련센터 마련과 초기 진화용 대형헬기도 시급한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정부의 예산 및 기부금이 다시는 이런 피해가 커지지 않도록 잘 이용이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